본문 바로가기

턱과 그들의 이야기

부정교합의 원인

부정교합을 알아보기에 앞서 교합이란 개념을 이해하고 부정교합을 살펴보도록 합시다.


※ 교합이란?

    윗 턱과 아래 턱을 다물고 있을 때의 치아의 접촉상태를 말한다.  


1. 치아의 위치 이상(Malposition of teeth)


일반적으로 전체 치아가 연속성을 가지고, 올바르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정상교합이라고하며, 그 치열 궁과 얼굴의 정중성, 교합 선등의 관계를 기준으로 해서 치아의 위치의 변화는 그 방향에 따라 일정한 명칭을 사용한다.


  1)  근심 전위(Mesioversion): 치열궁내의 정상위치로부터 정중선에 가까운 것

  2)  원심 전위(Distoversion):   치열궁내의 정상위치보다 정중선에서 먼 것

  3)  순측 전위(Labioversion):   치열궁내의 정상위치보다 순측(외측)에 있는 것

  4)  협측 전위(Buccoversion): 치열궁내의 정상위치보다 협측(외측)에 있는 것

  5)  설측 전위(Linguoversion): 치열궁내의 정상위치보다 설측에 있는 것

  6)  저 위(Infraversion): 교합선에 도달하지 못한 위치에 있는 것

  7)  고 위(Supraversion): 교합선을 넘어 맹출된 위치에 있는 것

  8)  염 전(Torsiversion): 치아가 그 장축에 대하여 회전하고 있는 것

  9)  이 전 치(Transversion 또는 transposition): 치열궁내에 인접하는 치아가 그 위치의 순서를 교환하고 있는 것

 10)  경 사(Axiversion): 치아가 정상의 치축보다 더 심하게 경사되든가 이상한 방향을 경사하는 것


2. 부정교합의 각종유형들


 

                

         전치 사이의 공간                총생(crowding)        선천적 결손치(missing teeth)

                  

         견치의 심한 각도         과개교합(deep bite)   돌아간 치아(rotation)

                  

         앞니가 튀어나옴        개방 교합 (open bite)    교차교합(cross bite)


 


3. 치열 궁 형태의 이상(Abnormalities of arch forms)

  1) 협착 치열 궁 (Constricted arch)

     ; 구치부의 설측 전위부로부터 일어나는 치궁의 구치간 폭이 좁은 것을 말하며 Angle의 제Ⅱ급 1류의 증례에 잘 나타난다.            

         
 

  2) V자형 치열궁 (V-shaped arch)

    ; 협착 치열에 속하나, 그 형이 전치의 순측 전위와 견치간 폭의 협소로 인하여 마치 V자형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같이 부른다.

          


3) 안장 치열 궁(Saddle shaped arch)

   ; 하악 치열 궁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하악의 열 성장(micro mandible)이 심하게 되어 제 1대구치의 근심 전위부터 소구 치의 설측 전위. 또는 경사로 인해 하악 치열 궁이 말 안장과 같이 보이기 때문이다.

          


4) 공간 치열궁(Spaced arch)

  ; 치아와 악골의 크기와의 사이에 부조화가 있을 때 악골에 대하여 치아가 적을 때 각각의 치아 사이에 간격이 있는 치열 궁을 말한다.  

           


4.  상하 치열궁 관계의 이상 (Abnormlities of arch relation)

  1)  상 악 치열 궁의 근 원심적 관계의 이상(Angle의 부정교합 분류법)

  A) Ⅰ급 부정교합( Class Ⅰ):  치열 궁의 근 원심 관계는 정상이나 다른 치아들이 설측이나  협 측으로 전이되어 교합되는 것이다.

           

  B) Ⅱ급 부정교합

       상 악 치열 궁에 대하여 하악 치열 궁이 원심 위에 있는 것(하악 원심교합)

       Division Ⅰ: 하악 원심교합에서 상악 전치의 전돌을 수반하는 것.

       Division Ⅱ: 하악 원심교합에서 상악 전치의 후퇴를 수반하는 것.

            

  C)  Class

        Division Ⅲ: 상 악 치열에 대하여 하악 치열 궁이 근 심 위에 있을 때(하악 근심교합)

             


  2)  상하 치열 궁의 수직관계의 이상

     A)  과개 교합(Deep overbite)

            ; 정상교합에서는 상 악 전치가 하악전치의 순면을 1/4∼1/3을 덮는다.

              그러나, 이 덮는 정도가 정상범위를 넘어서 많이 덮는 것을 말한다.

               

     B) 개교교합 (Open bite)

           ; 구치의 전후방관계는 정상이나 비정상적인 근육의 기능을 지니며,

               교합시에 치아들이 접촉되지 않는다.

              

3) 상하 치열 궁의 수평관계의 이상

     ; 일반적으로 상 악 치열은 하악 치열을 덮는 것이 정상인데, 어느 한쪽의
           
        치아가 하악을 덮지 않고 안쪽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이를 교차교합(Crossbite)이라고 부른다.

               




자 이제 본론으로 넘어가 우리가 겪었던 혹은 지금도 겪고 있는 부정교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부정교합이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악골, 안면, 치아 등에 어떤 원인에 의해 형태와 발육 또는 기능의 이상이 와서 그 결과로 인해 정상적인 교합상태를 영위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부정교합은 악골, 치아 및 연조직의 부조화로 발생되는 복합적인 형태적, 기능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그 원인 규명은 너무나 복잡하다. 그러나, 부정교합의 원인 규명은 치료계획의 수립, 예후 및 예방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유명한 학자들은 부정교합의 원인이 치아와 관련되지 않은 General Factors와 치아와 관련Local Factors로 분류되었다.

Ⅰ.  GENERAL FACTORS    

1)  유    전(Heredity)
        

       A)   인종적인 영향


       B)   유전적인 안모의 형태 - 자손의 형태도 유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C)   성장 발육에 대한 유전적인 영향
            ; 성숙 시기인 남자는 큰 변화가 12∼18세에 일어나고, 여자는 12∼13세에서  일어 난다.

   
2)  선천적인 결손(Congenial Defects)      

       A) Cleft lip and palate
           자료 :부정교합의 이론과 실제 37p
       B) 다른 선천적인 결손
           (1) 뇌성마비(Cerebral palsy)
        두개골 내의병소로 인해서 근육마비나 muscular coordination의 결핍이
        발생되며, 분만시 외상이 가장 큰 원인으로 생각된다.  조직은 아주 정상
        이나 운동신경 조절의 장애로 인해 근육을 바르게 사용할 수가 없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근육작용은  저작,연하, 발음, 호흡시에도 일어난다.
        또한 이러한 비정상적인 근육작용은 정상교합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근의
        평형을 깨뜨리며, 부정교합을 유발한다.
           (2) 사경(Torticollis, Wry neck)
        ; ternocleidomastoid muscle의 단축으로 인해 두 개 및 안면의 골 형태
        에 큰 변화를 초래하며, 이는 muscle과 bone사이의  투쟁에서 bone이
        굴복한다는 실례를 증명해준다. 조기에 처치되지 않으면 치료될 수 없는
        부정교합을 지닌 기묘한  안모의 비대칭을 초래한다.
           (3) 두 개 안면 이골 증(Cleidocranial dysostosis)
        ; 편측 혹은 양측, 부분적 혹은 완전히 쇄골(clavicle)이 존재치 않는
        다. 두개골 봉합(suture)의 패쇄가 지연되고 상 악 후퇴 및 하악  전돌증,
        영구치의 맹출 지연, 유치 만기잔존, 때로 영구치근이 짧고 얇다. 흔히 과
        잉 치가 발생한다.
   3)  환   경(Environment) 
     
  A) 출생전의 영향 (Prenatal Influence)
        ; 출생전의 영향은 매우 적으나, 자궁내의 태아의 위치나 모체의 유섬
        유종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B)  출생 후의 영향(Postnatal influence)
        ; 출생시의 상해가 원인이 되나 대부분 일시적이나, 병적으로 사고에
        의하여 악 관절 손상(Condylar ankylosis)을 유발시킨다.
        추락등으로 condyle골절이 발생된 경우 현저한 안모의  비대칭을 유발
        시킬 수 있으며, 화상으로 인한 광범위한 scar tissue도  부정교합을
        유발한다.
  4)  대사환경 및 질병(Predisposing metabolic climate and disease)     

        A) 발진열(EXANTHEMATOUS FEVER)은 발육의 timetable을 붕괴하며
           치아표면에 흔적을 남기기도 한다.
       
B) 소아마비도 심한 부정교합을 초래할 수 잇다. 즉 마비된 근육이 하악
           에 강한 retracting force를 발휘한다.
        C) 내분비 장애는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그 예로서 뇌하수체나
           부갑상선의 기능장애(pituitary&parathyroid disturbance)가 있는 경우
           성장발육을 저해한다.
        D) Acromegalic mandible (뇌하수체기능항진증)에서는 post-developmental condylar growth, appositional growth condylar  symphysis, muscle force로 인한 하악의 body 및 angle의 골 흡수 등이 유발된다.
        E) Cretin(hypothyroid dwarf): 두거운 목, 잛은 사지, 큰머리 및 얼굴, 두꺼운 입술 및 큰 혀를 지니며,  유치가 만기잔존된다. 큰 혀로  인해 전치부의 개방교합, Ⅲ급 부정교합을 지닌다.
        F) Euthyroid of pituitart dwarf: 사지가 조화를 이룬 난쟁이.  둘 모두에서 치열의  발육은 지연된다.

 
 5) 영양결핍     
구루병(rickets), 괴혈병(scurvy), 각기병 (beriberi)과 같은 영양장애는 심한 부정교
      합을 야기시킨다. 흔히 가장 큰 문제는 치아발육  timetable의 붕괴이다. 즉 치아의
      조기상실, 만기잔존, 불량한 조직 건강 및  비정상적인 맹출로 등이 발생된다.
 
6)  비 정상적인 Pressure Habits                   

           A) Finger sucking habit
         일반적인 인공젖꼭지로 수유시 입술 밀 패가 어려우며, 우유와 함께 공기가 쉽게 흡입되고, 비정상적인  musle pressure 가  발생되어 하악이 후방으로 위치되고 전 돌된 premaxillary segment 과도한  수직 피개 교합, 연약한 상순, high palatal vault, 협소한  치열 궁 등이 유발되며 보상적인 tongue  thrust, infantile swallowing의 잔존, 구강주위 근육의 비정상적인 기능이 초래된다.
           B) LIP BITING & TONGUE THUST HABIT
           이는 구치가 과도하게 맹출 되고, 전치부 개방교합을 야기시키고, 상 악 전치의 순측 전 돌이 될 수 있다.
           C) 혀의 크기
             비정상적인 혀의 크기와 비정상적인 악골발육이 결합되어 심한 부정교합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7) 자 세(posture)

    새우등 같이 구부리고 잠을 자는 아동에서 chin은 가슴에 놓이게 되어 하악의 retrusion이 발생한다. 자세가  부정교합의 원인이 될  수가 있다.

 
8) 사고나 외상   
외상은 원인불명의 비정상적인 맹출을 초래한다. nonvital한 유치는 비정상적인 치근흡수로서 영구치의 맹출 지연이나 맹출 이상을 유발시킨다.

  Ⅱ. LOCAL FACTORS
       
 
          1)  치아수의 이상
               A) 과잉치(Supernmerary teeth)
                    ; 필요없는 치아가 붕출한 것.  자료:부정교합의 이론과 실제 51p.
               B) 결손치(Missing teeth)
                   ; 필요한 치아가 아예 나오지 않는 것을 말함.
          2) 치아 크기의 이상
          3) 치아 형태의 이상
              ; 돼지 치아처럼 한 치아가 특별히 작은 것을 말함.
          4) 비정상적인 Labial Frenum
          5) 유치의 조기상실
          6
) 유치의 비정상적인 치근 흡수
          7) 영구치의 맹출지연
          8) 치아가 비정상적으로 맹출한 경우
          9) 영구치가 Ankylosis되어 맹출 되지 않는 것
         10) 치아우식증
         11) 부적절한 치아회복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