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청정제의 주성분은 항균 작용이 있는 물질인 chlorhexidine, listerine, alexidine, cetylpyridinium chloride 등입니다...
가그린의 주성분은 4급 암모니움 화합물인 cetylpyridinium chloride 입니다... 이 역시 항균작용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그린도 장기간 사용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그리고 불화나트륨과 같은 불소 성분이 있어 치아를 튼튼하게 해주구요... zinc chloride(염화아연)도 들어 있는데 이 성분은 구취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 되어 있으며 몇몇 논문에서는 크게 효과가 없다고도 합니다.
헥사메딘의 주성분은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이구요..항균작용이 있으며 고농도에서는 살균작용, 저농도에서는 정균작용을 가집니다. 0.2%로 1회 양치시 치태와 타액 세균이 80-98% 감소한다고 합니다.
헥사메딘은 상품명이구요.. 클로르헥시딘이라고 하는 제품도 있습니다.. 농도가 헥사메딘의 2배이기 때문에 희석해서 써야되구요..
헥사메딘의 부작용은 구강내 정상세균총의 균형이 깨어져 구강내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정상세균총이란 구강내 여러종류의 세균들이 서로 경쟁하면서 특정세균이 많이 성장하는 것을 억제하며 조절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러나 헥사메딘 등의 구강양치액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많은 종류의 세균들이 제거되나 남아 있는 세균들은 경쟁자가 없어지게 되므로 급격히 많이 성장할 수 있게 되는 거죠... 이런 경우 구강캔디다 증과 같은 진균의 감염이 일어 날 수 있으며 다른 문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외 흔한 부작용으로는 미각이상, 치아나 혀의 착색, 보철물의 변색, 구강점막의 쓰린듯한 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헥사메딘의 사용을 중지하면 없어지는 가역적인 부작용입니다.
헥사메딘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른 제품에 비해 항균작용이 아주 강해 수술후 감염등의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턱과 그들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의약정보센터 KIM'S ONLINE (0) | 2009.07.03 |
---|---|
마취(anesthesia) (0) | 2009.06.23 |
치아 성형 (0) | 2009.06.14 |
양악과 하악에 대한 개념정리 (0) | 2009.05.11 |
쓰라리게 경험하고 정리해본 교정치과 선택시 유의점 (0) | 2009.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