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증
1. 절개를 이용한 술식이 불필요한 반흔을 남길 가능성이 있을 경우
2. 피부나 orbicular oculi muscle의 이완도가 강하지 않고 약간의 긴장도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3. 피하지방의 축적이 많지 않은 경우
4. 넓은 쌍꺼풀 선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5. 약한 쌍꺼풀 선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
수술법
Design
쌍꺼풀선의 형태나 폭경은 대칭성을 잃지 않도록 앉은 자세나 직립자세에서 검사한다. 디자인은 환자가 앉은 자세에서 시선을 10。 상방으로 주는 상태에서 시행한다. 그런데 대개의 환자에서 양측 눈이 완전히 대칭이 되지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양측으로 안검성형술을 시행하는 경우 디자인은 분리하여 시행하고 이 경우에도 안모 전체의 조화를 잃지 않아야 한다.
쌍꺼풀선의 폭경은 palpebral fissure의 span과 조화를 이루어야한다. 이 경우 환자의 나이나 환경도 고려인자가 된다. 여러 가지 인자를 설명한 후에 환자의 동의를 얻는다. 일부 환자의 경우 서양인과 같이 넓은 쌍꺼풀선을 원하는 경우도 있는 데 쌍꺼풀선은 한번 넓게 형성된 것은 좁게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잘 알고 있어야한다. 경험상 젊은 사람의 경우 5mm의 폭이 적당하고 중년의 경우 7mm가 나이가 많이 든 경우 10mm가 적당하다. 쌍꺼풀선은 크게 두가지 형태로 나누어 형성할 수 있는 데 하나는 fan type이고 다른 하나는 parallel type이다. fan type은 외측으로 나갈수록 폭경이 넓어지는 것이고 parallel type은 폭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수술술식
원하는 쌍꺼풀선을 따라서 먼저 표시를 한다. 그리고 혈관수축제를 포함한 국소마취제를 상안검에 주사한다. 안검을 eyelash를 거상시켜 외번시키고 No.5 round needle에 5-0 braided polyester suture 20cm을 이용하여 conjunctival side의 upper tarsal rim에서 원하는 부위의 진피측으로 뜬다. 그 다음 봉합은 2에서 3mm 간격으로 시행한다. 각각의 술식은 한 안검에 6회정도 시행한다.
tarsus가 어떠한 봉합사에서도 관통되지 않았음을 확인한 후 2mm 이하의 반경을 가지는 glass bead를 끼워 봉합한다. 조직협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인근 봉합과 엉킴이 없음을 확인한다. 수술후 환자는 즉시 일상생활에 복귀할 수 있다. 수술후 7일에 봉합사를 제거한다. 봉합 때문에 혈류의 저류현상이 일어나 술후 부종은 어느 정도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수술직후에는 디자인한 폭경보다 쌍꺼풀선이 더 넓어 보이게 된다. 이는 발사후에도 일정기간 지속된다. 그러나 술후 2주에는 자연스런 모양을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고전적인 방법에 몇 가지 방법을 추가할 수 있다.
Increase in Number of Ligatures
두꺼운 palpebral fissure와 피하 지방이 많은 젊은 환자에서는 봉합부를 7개나 8개로 하여 조직의 협착을 돕는다.
Skin Undermining
Skin undermining은 기존의 쌍꺼풀선을 넓히기 위하여 사용한다. 기대하는 선의 외측 피부에 2-3mm의 절개를 가한다. 이후에 박리용 가위를 넣어 orbicular oculi muscle의 전방 피하조직을 박리한다. 봉합선은 6-0 nylon으로 봉합한다.
Defatting
지방제거는 과잉의 지방이 존재하는 경우나 넓은 쌍꺼풀선을 좋아하는 환자에서 시행한다. 피부절개선은 2-3mm 길이로 원하는 쌍꺼풀선 위에 두고 orbital septum으로 작은 양의 1% lidocaine을 뿌린다. 마취후에 septum을 가위로 뚫고 나가면 지방이 나오며 원하는 양만큼 제거한다. 이 술식 동안 안구는 부드럽게 아래에서 위로 보게한다. 이후 6-0 nylon으로 봉합한다.
토의
많은 수의 동양인에서 쌍꺼풀선이 없는 이유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피부, orbicular oculi muscle과 중심부 결합조직이 두껍다.
(2) Pretarsal 및 orbital fat이 풍부하다.
위의 가설을 뒷받침하는 "levator expansion" 이론이 있는 데 이는 levator aponeurosis가 orbital septum을 투과하여 orbicular oculi muscle이나 palpebral skin에 협착되는 경우 쌍꺼풀선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언급된 봉합법은 Hata법과 Uchida법을 복합한 것이다. 전자의 방법은 conjunctiva측 palpebral rim에서 상부 피부에 의해 유도되어 catgut으로 3개의 봉합을 하는 방법이다. 후자는 3개의 실크 봉합사를 tarsus를 통하여 봉합하는 것으로 glass bead를 이용하여 국소조직에 협착을 유도하면서 봉합사가 피부를 물고 들어가는 일이 없게 하였다. 여기서 소개된 방법의 몇가지 장점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수술시간이 10분 정도로 짧다.
2. 수술후 실제적으로 반흔이 전혀 남지 않는다.
3. 수술후에도 일부 변형이 가능하다.
4. 봉합사가 남지 않아서 이물반응이 없다.
5. 경미한 상안검 성형술도 수술할 수 있다.
6. 봉합사를 매몰시키는 방법에 비하여 쌍꺼풀선이 없어지는 경우가 적다.
여기서 소개된 방법도 일부 쌍꺼풀선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는 데 이 경우 지방을 제거하거나 봉합사의 제거 시점을 늦춤으로서 예방할 수 있다. 만약에 절개하는 방법이 강력히 요구되는 경우에는 절개법을 시행한다.
'턱과 그들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강 점막의 구조 (0) | 2010.08.01 |
---|---|
Dressing의 목적과 방법 (0) | 2010.08.01 |
간단한 Lab 종류 (0) | 2010.08.01 |
악교정수술의 합병증 (0) | 2010.08.01 |
이부성형술 (0) | 2010.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