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급 부정교합의
고정식 교정치료 역학
교수 백 승 학
I. 서 론
III 급 부정교합은 상악과 하악의 전후방관계에서 상악의 저성장, 하악의 과성장, 혹은 상기 2가지의 조합에 의하여 발현된다. 비록 조기 악정형 치료 (early orthopedic treatment) 에 의하여 상악과 하악의 전후방관계가 개선된다고 할지라도, 사춘기 성장과 더불어 하악의 성장이 계속될 경우에는 골격성 III급 관계가 재발될 수 있다. 만약 III 급 부정교합의 골격유형이 교정치료 가능범위 내에 있다면, 고정식 교정장치에 의한 치아치조 보상 역학 (dentoalveolar compensation mechanism) 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다1~3). 따라서 III 급 부정교합의 치료전략은 환자의 골격 유형과 발육 정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
많은 학자들이 골격유형에 따른 치아치조 보상의 특징을 조사하였고4~10), 이에 따라 골격유형에 따른 개별적인 치료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11).
그림 1. 교합평면의 반시계 방향 회전과 하악 치열의 원심 군집이동에 의한
Ⅲ급 부정교합의 치료역학.
그림 2. Multiloop edgewise archwire(MEAW)의 도해
Ⅱ. III급 부정교합의 고정식 교정장치 치료역학
Jacobson12) 은 교합평면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III급 구치관계를 I급 관계로 수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때 전치부 반대교합과 III급 구치관계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하악 치열의 원심 군집이동(distal en masse movement)이 필요하다(그림 1).
원심 군집이동에 유용한 호선으로 multiloop edgewise archwire (MEAW, 0.016 × 0.022 inch, Permachrome standard, 3M Unitek, Monrovia, CA, USA, 그림 2) 를 들 수 있다13~15).
MEAW에 부여된 L-loop, 감소된 load-deflection rate (LDR), tip-back bend (3~5°) 및 악간고무줄 (intermaxillary elastics)은 생리적이고 효율적인 개별 치아의 이동(individual tooth movement)을 허용하고, 구치를 직립시켜 교합평면의 경사도를 변화시키고, 상하악 치열의 전후방 관계를 수정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적절한 교두감합(intercuspidation)을 얻을 수 있게 해준다(그림 3)13~19).
그림 3. MEAW 치료 전후의 구치 경사도 비교
Chang 등15)은 일반적인 ideal archwire(IA)에 비하여 MEAW의 장점으로 1) 치아별 변위량 차이(discrepancy in the amount of tooth displacement)가 IA보다 작고, 2) 응력분포가 특정 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치열전체에 분산되는 것을 들었다.
적극적인 치아이동이 일어나야 할 부분의 호선은 상대적으로 작은 LDR을 가지고, 고정원의 역할을 해야 할 부분은 상대적으로 높은 LDR을 가져야 효율적인 교정치료를 할 수 있다. Yang 등19)은 MEAW의 L-loop는 전치와 구치 부위별로 수평 loop(horizontal loop)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LDR을 가진다고 하였다.
즉 측절치와 견치, 견치와 소구치 사이의 수평 loop 길이가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 제1, 2대구치 사이의 수평 loop 길이보다 짧아서 LDR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MEAW의 후방부가 전방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LDR을 가지게 되며, 교정력이 구치부에서는 생리적인 힘으로 작용하여 원심 군집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15). 이에 비하여 IA는 LDR에서 큰 장점을 보이지 않으므로 구치부의 원심 군집이동 효과가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역학은 하악 치열의 원심 군집이동시 하악 교합평면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는 것이다12, 20). 만약 IA가 구치부를 효과적으로 직립시키지 못한다면, 상대적으로 하악 전치의 설측경사와 정출을 과도하게 발생시켜야 하며, 이는 안정성에 좋지 못한 영향을 줄 것이다. MEAW는 구치의 원심 직립을 효율적으로 일으킬 수 있고, 전치의 정출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15).
그림 4. Ⅲ급 부정교합의 고정식 교정장치 치료역학의 도해
(흑색선:초진, 적색선:교정치료종료)
III급 부정교합의 고정식 교정장치 치료역학은 하악골의 시계방향 회전, 교합평면의 반시계 방향 회전, 상악 전치의 순측경사, 하악 전치의 설측경사 등에 의한 치아치조 보상역학이다1~3, 9, 11~20). 장기적인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정상적인 수직 및 수평 피개도를 확보하는 것이 좋다(그림 4).
그러나 MEAW 사용시 지나친 III급 고무줄의 사용은 상악 구치의 정출과 상악 전치의 순측경사를 유발하여 치료후 안정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최근 들어 교정용 miniscrew의 발전에 의하여 III급 고무줄을 상악 호선이 아닌 교정용 miniscrew에 적용하여 이러한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림 5. 초진시 안면사진
Ⅲ. III급 부정교합의 고정식 교정치료 증례
경미한 골격성 III급 관계, 전치부 크라우딩, 상하순의 돌출을 보이는 경우에는 상하악 제1 혹은 제2 소구치를 발치하여 치료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교정치료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III급 부정교합 환자를 비발치하여 교정치료한 증례와 상악 제2대구치/하악 제3대구치를 발치하여 교정치료한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림 6. 초진시 구강내사진
그림 7. Splint 사용 전후의 비교사진
그림 8. 교정용 miniscrew를 구개부에 식립한 구강내사진
그림 9. 치료 경과를 보이는 구강내사진
그림 10. 치료 전후의 안면사진 비교
그림 11. 치료 전후의 구강내사진 비교
그림 12. 치료 전후의 측모 두부계측 그림 13. 치료 전후의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의 비교
'턱과 그들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 Fort 골절법의 정의와 양상 (2) | 2009.04.17 |
---|---|
붓기(부종) [edema] (0) | 2009.02.28 |
악교정 수술의 정의 및 목적 (0) | 2008.10.13 |
침의 기능 (0) | 2008.10.04 |
턱수술후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의 요소 (0) | 2008.09.17 |